신상정보

내수압 10000mm와 투습 15000g: 스키복 등급별 성능 차이

xortl2 2025. 11. 5.

내수압 10000mm와 투습 1500..

스키/스노보드 의류 기능성 등급의 심화 이해

스키 및 스노보드 의류의 선택 기준은 방수(Waterproof)투습(Breathability) 등급에 있습니다. 이 수치들은 단순한 기능 유무가 아닌, MM(내수압)G/M²/24hr(투습도)로 정의되는 과학적인 성능 지표입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이러한 전문가 수준의 스키 의류 방수 투습 등급 해석을 통해, 개인의 설원 활동 강도별 가장 적합한 제품 추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최상의 쾌적함과 안전을 보장하는 명확한 기준을 안내합니다.

방수 등급(mm): 설원 습기에 맞서는 방어력

스키 의류의 방수 등급은 정수압 헤드(Hydrostatic Head, HH) 테스트를 통해 측정되며, 원단이 물이 스며들기 시작하기 전까지 견딜 수 있는 물기둥의 높이(mm)를 의미합니다. 이 수치는 단순한 강설 차단을 넘어, 스키어가 눈 위에 앉거나 넘어질 때 가해지는 집중 압력(최대 15,000mm까지 상승)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항하는지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입니다. 수치가 높을수록 외부 습기와 물리적 압력에 강합니다.

활동 환경별 권장 기준 및 등급 해석

대부분의 리조트 스키어에게는 10,000mm가 업계에서 권장하는 최소 기준(마지노선)입니다. 이는 가벼운 눈과 일반적인 활동 중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기 위함입니다.

  1. 10,000mm: 마른 눈 또는 일반적인 리조트 환경에서의 초·중급 라이딩에 적합합니다.
  2. 15,000mm ~ 20,000mm: 습설 및 강풍 동반 폭설 대응, 중급 이상의 장시간 라이딩이나 파우더 스노우 환경.
  3. 20,000mm 이상: 고성능 쉘(Shell) 자켓, 백컨트리 스키 등 최고 수준의 내구성과 보호 기능을 요구하는 환경.

완전 방수의 비밀: 심 테이핑

단, 완벽한 방수 기능의 완성은 원단 등급 외에도 솔기(Seam) 부분의 마감에 달려 있습니다. 의류의 모든 솔기에 '심 테이핑(Seam Taping)' 처리가 되어 있어야만 완전한 방수 의류로 기능합니다. 방수 등급을 확인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체크 포인트입니다.

당신의 스키복은 넘어졌을 때의 압력을 견딜 수 있나요?

다음은 내부 쾌적함을 위한 핵심 요소인 투습 등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투습 등급(g/m²/24h): 내부 쾌적함을 위한 땀 배출 능력

투습 등급은 원단의 수증기 투과율(MVTR)을 측정하며, 단위는 g/m²/24h입니다. 이는 원단 1제곱미터당 24시간 동안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증기의 무게(그램)를 나타냅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의류 내부의 습기가 효율적으로 배출되어 쾌적함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체온 유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투습의 중요성: 내부 결로와 저체온증 방지

스키는 활동 강도가 높아 땀이 다량으로 발생합니다. 투습 기능이 낮으면 외부 습기가 아닌 내부의 땀이 식으면서 내부 결로를 일으켜 의류가 젖게 됩니다. 젖은 의류는 급격한 체온 저하로 이어져 저체온증의 치명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투습 기능은 방수 성능만큼이나 핵심적인 안전 요소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활동 방식별 투습 등급 추천 기준

  • 10,000g/m²/24h: 일반적인 리조트 슬로프 스키 및 적당한 활동 강도에 적합한 표준 등급입니다.
  • 15,000g/m²/24h 이상: 활강량이 많거나, 반복적인 업힐/다운힐이 필요한 고강도 활동 및 투어링에 권장되는 성능입니다.
  • 20,000g/m²/24h 이상: 장시간 지속되는 극한의 백컨트리 환경이나 전문가급 고산 등반에서 최상의 건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선택됩니다.

실질적인 쾌적함의 완성: 벤트(Vent) 지퍼

높은 투습 등급 외에도, 특히 겨드랑이 등에 위치한 벤트 지퍼는 순간적으로 과도한 열과 습기를 직관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가장 실용적인 기능입니다. 의류 선택 시 투습 필름 성능과 함께 이 실용적인 기능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스키어 유형별: 최적의 방수-투습 균형 조합 선택 가이드

가장 이상적인 스키 의류는 멤브레인의 방수(WPR)와 투습(BTH) 성능의 균형을 통해 가격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제품입니다. 등급이 높아질수록 필연적으로 가격이 상승하므로, 본인의 활동 강도(발한량)와 예상되는 기후 조건에 맞춰 효율적인 등급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현명합니다. 무조건 20,000mm/20,000g 이상의 최고 등급만이 정답은 아닙니다.

스키/스노보드 활동 유형별 권장 성능 기준

  • 1. 초급자 및 리조트 일반 사용자 (Fair-Weather Skier)

    권장 조합: 방수 10,000mm / 투습 10,000g/m²/24h
    특징: 주로 정설된 슬로프를 이용하며 활동 강도가 낮아 땀 배출이 적습니다. 기본적인 방어력(눈, 가벼운 비)과 리프트 탑승 시의 습기 방어에 초점을 맞추는 실용적인 등급입니다.

  • 2. 중급 이상 및 전천후 사용자 (All-Mountain Rider)

    권장 조합: 방수 15,000~20,000mm / 투습 15,000g/m²/24h 이상
    특징: 하루 종일 스킹을 하거나, 예기치 않은 악천후 속에서도 활동하는 경우 필수적입니다. 땀 배출량 증가에 대비해 투습력(BTH)이 방수력만큼 중요해지는 구간이며, 고성능 멤브레인의 균형이 우수합니다.

  • 3. 백컨트리 및 고강도 투어링 사용자 (High-Output/Touring)

    권장 조합: 방수 20,000mm 이상 / 투습 25,000g/m²/24h 이상
    특징: 스키 투어링, 오르막 트레킹 등 극도의 땀(수증기) 배출을 동반하는 고강도 활동입니다. 내부 습기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이므로, 투습력을 방수력보다 압도적으로 우위에 두는 최고 수준의 쉘 재킷이 요구됩니다.

스키 의류 기능성 관련 FAQ: 방수/투습 등급 심화 해석

Q1. 방수 20,000mm는 정말 모든 스키어에게 필요한가요? 방수 등급 해석 기준이 궁금합니다.

A: '방수 등급(내수압)'은 원단이 물의 압력을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측정하는 핵심 기술 지표입니다. 20,000mm는 최고 수준의 성능을 의미하지만, 필수 여부는 스키어의 활동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리조트 스키어는 10,000mm~15,000mm로도 충분히 쾌적합니다. 하지만 폭설, 비가 섞인 습설 환경, 혹은 무릎을 꿇거나 앉는 자세가 많은 초보자 및 백컨트리 스키어는 의류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므로, 극한의 안전 마진을 위해 20,000mm 이상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유효합니다.

활동별 권장 내수압 등급 요약

활동 유형 권장 내수압 주요 고려 환경
리조트 일반 스키 10,000mm ~ 15,000mm 보통의 눈, 가벼운 비
고강도/백컨트리 20,000mm 이상 폭설, 습설, 강한 바람, 신체 압력

Q2. 투습 등급이 낮은 의류를 입으면 활동 시 어떤 문제가 발생하며, 추천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 투습 등급(MVTR: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은 의류가 24시간 동안 1제곱미터당 얼마나 많은 수증기(g)를 외부로 배출하는지 나타냅니다. 이 등급이 낮으면 신체가 땀을 흘릴 때 수증기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고 의류 내부에 갇히게 됩니다. 이는 활동 내내 꿉꿉함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활동을 멈춘 후 축적된 습기가 증발하면서 '기화열'을 빼앗아 체온을 급격히 떨어뜨립니다. 이로 인해 저체온증의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것이 가장 치명적인 문제입니다. 따라서 투습 성능은 쾌적성을 넘어 안전성의 문제입니다.

스키와 같은 고강도 활동을 위해서는 최소 15,000g/m²/24hr 이상의 투습 등급을 갖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방수 등급이 아무리 높아도 투습이 안 되면 결국 내부에 땀이 차서 젖게 됩니다.

Q3. DWR(내구성 발수 가공)은 정확히 무엇이며, 방수 및 투습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 DWR은 'Durable Water Repellent'의 약자로, 원단의 겉표면에 물방울이 맺혀 굴러떨어지게 하는 표면 처리(발수) 기능입니다. 이는 멤브레인이 물을 막는 원단 자체의 방수 등급(내수압)과는 명확히 별개입니다. DWR의 역할은 겉감이 물에 젖어 무거워지고 눅눅해지는 'Wetting Out' 현상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이 현상이 발생하면 투습 멤브레인의 미세한 기공이 젖은 겉감에 의해 막히면서, 의류의 투습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마치 투습이 안 되는 옷을 입은 것과 같은 효과를 냅니다. 따라서 DWR은 멤브레인의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보조 기능입니다.

DWR 성능 관리를 위한 팁

  • DWR은 마찰이나 세탁으로 인해 점차 성능이 저하되는 소모성 기능입니다.
  • 일정 횟수 세탁 후에는 겉감이 젖기 시작하는데, 이때는 반드시 전용 발수제를 사용하여 성능을 복원해야 합니다.
  • 건조 시 저온의 열처리(건조기 사용 또는 다림질)를 통해 DWR 성분을 활성화시키면 성능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댓글